이 글을 통해 전국 각지의 오일장 장날을 한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정리된 최신 장날표와 방문 팁으로 여행 계획을 더 알차게 세우세요. 지역 특산물과 맛집 정보까지 함께 알아보며 오일장의 매력을 제대로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 오일장이란?
- 지역별 오일장 장날표
- 서울・경기권 오일장
- 강원권 오일장
- 충청권 오일장
- 전라권 오일장
- 경상권 오일장
- 제주권 오일장
- 오일장 방문 시 주의사항
- 자주하는 질문
지역별 오일장 장날표
전국의 오일장은 지역마다 특색이 있고 열리는 날짜가 모두 다릅니다. 5일마다 열리는 것이 기본이지만, 정확한 날짜는 지역별로 확인해야 합니다. 아래 지역별 장날표를 참고하시면 여행 계획을 효율적으로 세우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기권 오일장
수도권에도 여전히 전통의 맥을 이어가는 오일장이 있습니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활기찬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지역 | 장터명 | 장날 | 특징 |
---|---|---|---|
경기 양평 | 양평장 | 3일, 8일 | 신선한 산채, 약초류 |
경기 광주 | 경안장 | 2일, 7일 | 도자기 특산물 |
경기 여주 | 여주장 | 5일, 10일 | 쌀, 도자기 |
경기 안성 | 안성장 | 4일, 9일 | 한우, 유기농산물 |
강원권 오일장
강원도의 오일장은 고산지대의 특성을 살린 산나물, 약초, 건어물 등이 유명합니다. 특히 봄철 산나물 시즌에는 전국에서 방문객이 몰리는 명소입니다.
지역 | 장터명 | 장날 | 특징 |
---|---|---|---|
강원 속초 | 속초장 | 2일, 7일 | 수산물, 젓갈류 |
강원 평창 | 대화장 | 1일, 6일 | 고랭지 채소, 송이버섯 |
강원 정선 | 정선장 | 2일, 7일 | 곤드레, 취나물 |
강원 영월 | 영월장 | 4일, 9일 | 산나물, 한약재 |
충청권 오일장
충청도는 농산물이 풍부한 곡창지대로, 신선한 농산물과 가공식품이 주를 이루는 오일장이 많습니다. 특히 전통 주류와 장류가 발달한 지역입니다.
지역 | 장터명 | 장날 | 특징 |
---|---|---|---|
충북 청주 | 사직장 | 4일, 9일 | 채소, 약초 |
충북 제천 | 제천장 | 1일, 6일 | 한약재, 약초류 |
충남 공주 | 공주장 | 5일, 10일 | 밤, 곶감 |
충남 논산 | 강경장 | 3일, 8일 | 젓갈, 수산물 |

전라권 오일장
전라도 지역은 우리나라 음식문화의 중심지로, 다양한 식재료와 향토음식을 만날 수 있는 오일장이 발달했습니다. 특히 해산물과 발효식품이 유명합니다.
지역 | 장터명 | 장날 | 특징 |
---|---|---|---|
전북 남원 | 남원장 | 2일, 7일 | 허브, 지리산 특산물 |
전북 정읍 | 정읍장 | 3일, 8일 | 쌀, 한우 |
전남 장흥 | 장흥장 | 5일, 10일 | 표고버섯, 한우 |
전남 순천 | 순천장 | 4일, 9일 | 나물류, 약재 |
전남 장흥 토요시장은 매주 토요일마다 열리는 특별시장으로, 전통 오일장과는 별도로 운영됩니다. 한우와 표고버섯 특산물로 유명하니 주말 여행 계획이 있으시다면 참고하세요.

경상권 오일장
경상도는 우리나라에서 오일장이 가장 활발히 열리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내륙과 해안을 아우르는 다양한 특산물을 만날 수 있습니다.
지역 | 장터명 | 장날 | 특징 |
---|---|---|---|
경북 안동 | 안동장 | 5일, 10일 | 한지, 전통주 |
경북 포항 | 죽도시장 | 상설+4일, 9일 특별 | 해산물, 과메기 |
경남 진주 | 중앙시장 | 4일, 9일 | 실크, 한약재 |
경남 하동 | 하동장 | 1일, 6일 | 녹차, 참깨 |
제주권 오일장
제주도의 오일장은 섬 특유의 해산물과 감귤류 등 특산품이 풍부합니다. 관광객들에게도 인기 있는 방문 코스입니다.
지역 | 장터명 | 장날 | 특징 |
---|---|---|---|
제주시 | 제주오일장 | 2일, 7일 | 해산물, 감귤 |
서귀포시 | 서귀포매일올레시장 | 매일(4일, 9일 확장) | 해산물, 한라산 특산물 |
제주 성산 | 성산오일장 | 1일, 6일 | 해산물, 약초 |
제주 표선 | 표선오일장 | 3일, 8일 | 감귤, 흑돼지 |
제주도 오일장은 관광객이 많아 평일에도 혼잡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성수기에는 주차 공간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니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합니다.
오일장 방문 시 주의사항
전통 오일장을 방문할 때는 몇 가지 주의사항을 기억하시면 더욱 즐거운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 장날 확인: 방문 전 반드시 해당 지역 장날을 확인하세요. 5일 주기로 열리지만 지역마다 다릅니다.
- 현금 준비: 대부분의 오일장은 카드 결제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적당한 현금을 준비해가세요.
- 흥정 문화: 오일장에서는 적절한 흥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지나친 가격 깎기는 상인들에게 실례가 될 수 있습니다.
- 장바구니: 친환경 장바구니를 준비해가면 비닐봉지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주차 및 교통: 장날에는 주변이 매우 혼잡합니다. 가능하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일찍 방문하세요.
자주하는 질문





오일장이란?
오일장(五日場)은 5일 간격으로 정기적으로 열리는 전통 시장을 말합니다.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온 우리나라의 중요한 상업 문화로, 지역 공동체의 경제적, 사회적 교류의 장이었습니다.
오일장은 날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립니다:
-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열리면 '1일장'
- 2일, 7일, 12일, 17일, 22일, 27일에 열리면 '2일장'
- 3일, 8일, 13일, 18일, 23일, 28일에 열리면 '3일장'
- 4일, 9일, 14일, 19일, 24일, 29일에 열리면 '4일장'
- 5일, 10일, 15일, 20일, 25일, 30일에 열리면 '5일장'
과거에는 물물교환이나 농수산물 거래가 주를 이루었지만, 현대에 와서는 지역 특산품, 향토 음식, 수공예품 등을 판매하며 관광 명소로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많은 오일장이 상설시장으로 변화했지만, 여전히 오일장 특유의 활기와 정을 느낄 수 있는 곳들이 전국에 남아있습니다.